2017-11-01 구매

 

2017-12-12 읽기 시작!!

'공부합시다 > 기타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서버 구축하는 방법 (로컬 - windows xp)  (0) 2010.11.24
:

우선 MySQL의 데이타 구조중

date , datetime , timestamp 를 구분하여 보자

 

DATE 는  '1000-01-01' to '9999-12-31' 의 범위를 가지는 값으로 저장이 되며 날짜값만을 저장할 때 쓰인다.  표현되는 형식은  'YYYY-MM-DD'  를 따른다

 

DATETIME은 date + time을 합한 것으로 '1000-01-01 00:00:00' to '9999-12-31 23:59:59' 의 범위를 가지며 'YYYY-MM-DD HH:MM:SS' 의 포맷으로 표현이 된다.

 

TIMESTAMP는  '1970-01-01 00:00:01' UTC to '2038-01-19 03:14:07'  범위를 가지고 저장이 된다.

 

MySQL 에서 표현되는 모든 시간의 값은 초단위까지만 저장이되고  밀리세컨드 값은 무시 된다.

 

따라서 밀리세컨드 값을 저장하고 싶으면 long(bigint) 타입으로 따로 저장을 해야한다.

 

 

:

JSONObject json = new JSONObject();

 

json.add("str" , "한글이다 한글 쿠하하하하" );

 

String euc_krStr = json.toString().getBytes("euc-kr");

 

의 형태로 변환해 줄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utf-8로 보내고 싶을때는

 

String euc_krStr = json.toString().getBytes("utf-8"); 로 작성하면 된다.

 

 

소스 코드를 작성하는 문서의 인코딩은 UTF-8로 되어 있으면 된다.

 

JSONObject 의 라이브러리는 http://json-lib.sourceforge.net/ 을 이용했다.

 

보통은 Encoding values 라고 하는 문자열을 기준으로 인코딩을 구분하며 그 표는 다음 링크와 같다.

https://developers.google.com/custom-search/docs/ref_encoding

 

이 값은 정확하게는 codePage에 나오는 숫자로 링크되어 사용된다.

 

Encoding 에 CodePage는 다음 페이지를 참고해서 이용하면된다.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dd317756(v=vs.85).aspx

 

 

:

http://www.javahotchocolate.com/ie.html

Hot Chocolate : My Java and Eclipse Corner 라는 제목으로 운영되는 웹사이트

Eclipse , Java 등에 대한 각종 설명과 여러 프로젝트들에 대한 설명과 예제를 포함하고 있는 아주 유용한 사이트


감동적이게 봤던 링크는

http://www.javahotchocolate.com/tutorials/setup-eclipse.html#which

이거 였는데

eclipse 설치에 관한 디테일한 설명과 놓치기 쉬운 기본적인 세팅의 의미등을 설명해주고 있다.

여기에도 잊지 않고 예제와 실행순서를 보여주고 있다.  페이지 뷰의 대상을 폭넓게 생각하고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쿨한 사이트임에 틀림없다.
:

웹사이트에서 이클립스를 검색하다보면 다양한 패키지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Helios , Indigo , Europa 등등

다운받으러 www.eclipse.org 에 들어가도 딱부러진 설명은 첨부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검색을 하다 보니.

http://www.eclipse.org/forums/index.php/mv/msg/238929/723133/#msg_723133

포럼에서 위와 같은 글을 찾게 되었고.  이제야 패키지 명의 비밀을 알게 되었다.  그저 버전을 1.x.x , 2.x.x 로 표시하지 않고.

버전별로 A~Z 순서로 프로젝트명을 붙여서 관리했던 것이었다.

역사는 다음과 같다.

3.0 - 28 June 2004 ( 무명 )
3.1 - 28 June 2005 ( 무명 )
3.2 Callisto 30 June 2006
3.3 Europa 29 June 2007
3.4 Ganymede 25 June 2008
3.5 Galileo 24 June 2009
3.6 Helios 23 June 2010
3.7 Indigo 28 June 2011
그래서 Helios보다는 Indigo가 기능이 많았던 반면 ,  지원되는 플러그인은 Helios가 많았던 이유라 하겠다.

이상~

:

CentOS 를 Vmware에 깔고 나면 해상도는 800x600 , 640x480 이 두가지만 존재한다.

기본 화면 세팅에 모니터에 정보가 정해지지 않아. 가장 기본 해상도만을 표시하는 현상으로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


Terminal을 실행 시키고 su 권한을 얻어온다.

K menu -> System -> Terminal

다음 파일을 에디터로 오픈한다. /etc/X11/xorg.conf

vi /etc/X11/xorg.conf

추가할 내용이 한개  수정할 내용이 한개가 있다.

붉은 색으로 표시하는 란이 추가 또는 수정할 내용이다.




결국 Monitor라는 섹션을 하나 추가 하고 해당 정보를 Screen 섹션에서 처리 하게끔 연결을 해주는 것이다.

하단에 Modes "1440x900" xxxxxxx 는  전부 수정해 넣을 필요없이 800x600이 아닌 지원하는 해상도를

넣어주면 x windows를 다시 읽어 올때 표현할 수 있는 해상도를 알아서 추가해 준다.


위 내용을 수정해 넣었으면  x windows를 다시 실행해야하는데  가장 간편한 방법은  Logout -> End Current Session 이다.

K menu -> Logout -> End Current Session

다시 로그인을 해서 

K menu -> System -> Display 에 들어가서 Setting 탭에 Resolution을 확인해보자.

원하는 해상도가 있다면 빙고, 만약 없다면   필자와는 다른 문제에 부딪힌 것이므로  다른 도움 글을 찾아 보기 바란다.

원하는 해상도가 나왔다면 해당 해상도를 클릭하고

작업표시줄에 DIsplay 모래시계가 다 지나가면 다시한번 세션을 로그아웃하자.

아마도 로그인 화면부터 원하는 해상도로 당신을 반기고 있을 것이다.


미션 Success~~!!!




:

svn서버 구축하는 방법 - windows xp

1. 준비물
1) Setup-Subversion-1.6.13.msi  (subversion Server)
  http://subversion.apache.org/packages.html#windows
2) TortoiseSVN-1.6.11.20210-win32-svn-1.6.13.msi ( subversion Client )
 http://tortoisesvn.net/downloads

2. 1)과 2)를 순서대로 설치 , 특별히 옵션을 조정할 필요는 없다.

  - 1) 은 따로 윈도우형 프로그램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각종 명령은
       윈도우키 + R -> cmd 한 상태의 콘솔에서 진행된다.

3. svn 서버를 설치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c:\> svnadmin create SvnHome 
-> create 해당 디렉토리가 있으면 해당 디렉토리 안에 만들고 없으면 자동으로 생성
4. svn 으로 관리할 문서가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 다음을 실행한다.

  c:\Source> svn import file:///c:/SvnHome -m "My First Svn"
-> svn import c\Source file:///c:/SvnHome -m "My First Svn" 을 줄여서 쓴 것이다. 
  소스의 위치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위치한 폴더를 기준으로 한다.

5.  이제 svn 서버에 소스를 다 올렸으므로 받아 보면된다.

  c:\Workspce> svn checkout file:///c:/SvnHome MyProject
-> MyProject 라는 폴더를 생성하여 SvnHome에 등록했던 소스를 다운받는다.

-------------------------------------------------------------------------------
==> 위와 같은 기능을 tortoiseSVN 에서 제공을 한다.

3. create


폴더를 생성하고 우클릭한다음 위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폴더에 svn 서버 구축에 필요한 파일들을 생성한다.

4. 소스의 import

svn에서 등록할 소스가 들어있는 폴더를 클릭하고 위 메뉴를 선택


 file:///c:/aa 는 소스를 저장하게될 svn 서버의 저장 장소를 가르키는 것으로 
이 글 앞에서 설명한 것으로 하면 file:///c:/SvnHome 이 된다.

5. svn 소스의 checkout 



소스를 다운 받고 싶은 폴더에서 SVN Checkout 을 선택하고
Repository 에 svn서버 폴더를 적어 넣으면 된다

Checkout directory를 다운받아서 저장할 로컬 폴더이다.
:

BLOG main image
일단 공부하는 곳 by 라이푸

카테고리

전체 (7)
공부합시다 (7)
잡다한글 (0)
다녀왔어요 (0)
퍼왔어요 (0)
기타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달력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
Today : Yesterday :